현재 우리는 코로나19가 촉발한 비대면 사회에 살고 있다.
급속하게 발달하는 디지털 기술 개발로 많은 사람들이 ‘더 빠르게, 그리고 더 편리하게’를 외치는 오늘날, 오히려 더 큰 불편과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있다.
이른바, 디지털 소외계층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디지털 격차를 만드는지, 과연 해결책은 없는지 함께 고민해 본다.
코로나19가 쏘아올린 작은 공
디지털 소외계층이 겪고 있는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란, 사회적·경제적·지역적 또는 신체적 여건 등으로 인해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의 차이를 뜻한다. 사실 이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간 고령층, 농·어민, 장애인,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격차가 꾸준히 문제로 제기돼 왔다.
다만 초기에는 정보 접근성의 차이로 그 격차가 발생했으나, 점차 정보 활용의 측면에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급격히 이뤄진 비대면 사회는 디지털 격차를 다시 한 번 크게 확대시키는 계기가 됐다.
당장 몇 가지 예만 들어봐도 알 수가 있다. QR코드로 방문 명부를 대신하고, 무인 단말기(키오스크)로 주문을 하고, 장보기와 식사를 온라인으로 대신하는 식이다. 이처럼 우리 일상의 많은 부분이 달라지면서, 사회적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디지털 격차가 날로 심화하는 양상이다.
디지털 격차,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디지털 격차의 가장 큰 문제는 이것이 단순히 생활의 편의를 누리지 못하는 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디지털 격차는 정보 격차로, 정보 격차는 다시 경제 격차로 이어지기가 쉽다. 나아가서는 사회적 소외현상과 사회의 분열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정부 역시 이러한 디지털 격차의 심각성을 인식, 지난해 새로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때 등장한 개념이 바로 ‘디지털 포용(Digital inclusion)’이다. 디지털 포용이란, 모든 국민이 자신의 필요에 따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환경 전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4대 과제로는 첫째, 전 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 둘째, 포용적 디지털 이용 환경 조성 셋째, 디지털 기술의 포용적 활용 촉진 넷째, 디지털 포용 기반 조성 등이 있다. 정부의 이 같은 디지털 포용 정책은 현재 여러 지자체와 부처를 통해 시행 중이며, 민관 협력 또한 강화하고 있다.
디지털 배움터(www.디지털배움터.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9월부터 디지털 배움터를 전국 1천여 곳에서 운영 중이다. 국민 누구나 집 근처에 있어 찾기 쉽고, 가기 쉽고, 배우기 쉬운 지역별 생활편의시설을 기반으로, 수준별 디지털 역량교육이 이뤄진다. 홈페이지를 통해 교육장과 교육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미디온(edu.kcmf.or.kr)
미디어와 온라인의 합성어로, 교육 시설에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어르신, 장애인, 농·어민 등이 온라인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다. 회원가입을 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어르신을 위한 슬기로운 디지털 생활(youtu.be/3B_UdHRxpUA)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어르신 눈높이에 맞춰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알리기 위해 마련한 캠페인으로, 유튜브 영상으로 제작했다.
➊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배달음식 주문방법 ➋ 스마트폰으로 장보는 방법 ➌ 전자출입명부 QR코드 사용방법 등 생활 속 디지털 기기 활용법 등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