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주문·결제 시스템이나 서빙 로봇은 대형마트나 편의점, 식당 등에서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편리함과 효율’ 속에서 이루어지는 변화와 혁신은 우리가 인지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노동시장의 일자리 변동을 초래했다.
‘적응하든지 죽든지 선택하라. 이것은 자연이 한결같이 요구하는 냉혹한 명령이다.’ 지금 우리에게 이보다 더 현실적인 조언이 있을까 싶다. 하지만 이 구절은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00년 전인, 1922년 출간된 영국 소설가 H.G.웰스의 저서 「세계사 산책(A Short History of the World)」의 한 대목이다.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거대한 물결 앞에 놓인 우리의 불안함은 산업혁명 시대, 방직기 도입을 반대하며 러다이트 운동을 벌인 영국 섬유 노동자들의 심정과 다르지 않다. 이전 시대의 사람들이 그래왔듯 변화에 대한 도전과 응전은 인간생존의 숙명이다.
반도체 관련 기술패권 경쟁으로 연일 세계 경제가 들썩이고 있다. 미국은 반도체 과학법을 통과시켰고, 일본은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해 7조 4천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등 각국 정부는 반도체 시장 우위를 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과 인력양성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중요한 사실은 결국 반도체도 사람이 만든다는 점이다. 따라서 직업능력개발이 디지털 전환의 솔루션이다. 이에 한국산업인력공단도 지난해 7만 6천여 명의 재직자와 구직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전환을 담당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했다.
국내 시장이 작아 ‘규모의 경제’라는 이점이 취약한 대한민국의 유일한 돌파구는 과거에도 지금도 ‘사람의 가치를 높이는 것’뿐이다. 디지털 전환의 대안으로 새로운 직무에 필요한 기술을 배우는 리스킬링 Reskilling과 현 직무의 혁신을 위해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업스킬링Upskilling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기술과 지식으로 무장하여 직업능력을 새롭게 하는 것, 직업능력개발을 통해 ‘내 일Job’과 ‘내일Tomorrow’을 만들어 가는 것이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최선의 생존전략이며, 이는 곧 국가의 경쟁력이다. 하지만 직업능력개발이 가지는 가치와 그 중요성에 비해 현실에서 직업능력개발은 멀고 낯선 일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이에 고용노동부와 공단은 매년 9월을 직업능력의 달로 정해, 근로자와 기업의 직업능력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하는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2022년은 ‘능력은 새롭게, 내일을 빛나게’라는 슬로건으로 직업능력의 달 기념식,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Best of Champ Day 등 총 17개 행사를 개최한다.
특히, 제16회 인적자원개발 컨퍼런스는 ‘직업능력개발, 오늘과 내일을 잇다’라는 주제로 9월 15~1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미네르바 대학 설립자겸 총장인 벤 넬슨Ben Nelson의 기조강연(주제 :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스킬이란 In Durable Skills We Trust(or Not))을 비롯하여 미래 직업능력의 역할을 석학들과 고민하고 해답을 논의한다. 또한 한국형 인적자원개발K-HRD를 알리고 글로벌 수준으로 높여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공단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K-HRD를 짓는 글로벌인적자원개발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더욱 굳건히 수행해나갈 것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어 수 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