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0일, 개정된 전자서명법이 시행됨에 따라 공인인증서의 21년 독점시대가 막을 내리고 민간인증서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뉴스 속 경제 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최신 고용 동향을 살피는 ‘고용브리핑 365’를 통해서 공인인증서 폐지가 불러올 여러 가지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01. 공인인증서 독점시대, 막을 내리다
지난 1999년 제정된 전자서명법을 통해 온라인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인인증서라는 전자서명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그간 공인인증서는 온라인에서의 금융 거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해 왔으나, 특정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까다로운 보안프로그램 설치, 10자리 이상의 복잡한 비밀번호, 1년이라는 짧은 갱신 주기 등이 불편으로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번 변화로 ‘공인인증서’라는 명칭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대신 공동인증서로 명칭이 바뀌고 민간 인증서들과 같은 자격으로 경쟁하게 되었다. 이는 그동안 공인인증서에 주어졌던 독점적 지위가 사라지고 민간 업체에서 발급한 인증서에도 동일한 법적 효력이 부여됐다는 의미다. 물론 기존에 발급받은 공인인증서는 유효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유효기간이 끝나면 공동인증서로 갱신하거나 민간인증서를 발급하면 된다.
02. 민간인증서, 무엇이 다른가
새로운 전자서명법은 전자서명 시장을 본격적인 경쟁시장으로 변화시켰다. 그렇다면 민간인증서는 기존의 공인인증서와 무엇이 다를까. 민간인증서의 가장 큰 장점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결제원과 은행권이 함께 내놓은 금융인증서의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인증서가 클라우드에 저장돼 스마트폰에 따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른 민간인증서의 경우 지문·홍채·안면 등 생체 인식이나 패턴, 간편 비밀번호 등 다양한 인증 방법을 사용한다.
2년이나 3년마다 자동 갱신된다는 점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한 부분이다. 그러나 기존의 공인인증서와는 달리 인증서마다 이용 방법과 이용 범위 등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인증서를 미리 알아보고 잘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향후 민간인증서를 적용할 수 있는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03. 제2의 국민인증서, 누가 될 것인가
민간인증서 시대를 맞아 제2의 국민인증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인증서 시장은 약 700억 원 규모다. 그러나 추후 수수료나 타깃 광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접목시켜 사업의 모델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눈에 띄는 민간인증서로는 먼저 이동통신 3사가 공동 개발한 PASS(패스)를 들 수 있다.
출시한 지 1년 6개월 만에 누적 발급 건수가 2,000만건을 돌파했으며, 가장 많은 사용처를 확보한 상황이다. 지난 2017년 출시한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도 빼놓을 수 없다. 전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마련 중이다. 이외에도 토스, 네이버, NHN페이코 등이 있다. 앞으로도 보안성, 편리성, 안전성, 신뢰성 등 각각에 중점을 둔 다양한 인증서들이 등장할 예정이며, 이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